찜하기

모차르트 레퀴엠, 브루크너 테데움

  • 기간 2017-06-13(화)
  • 시간20:00
  • 장소 콘서트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95
  • 가격R석 8만원 / S석 6만원 / A석 4만원 / B석 2만원
  • 주최서울오라토리오
  • 후원서울문화재단, 서울오라토리오 후원회
  • 문의02-587-9277

모차르트 레퀴엠, 브루크너 테데움 종료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8년 이전 출생자 (2018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2년 이전 출생자 (2012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자신들의 음악적 전성기를 누렸던 고전과 낭만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의 작품으로 모차르트 <레퀴엠>은 음악 역사상 가장
숭고하고 비극적인 진혼곡으로 여겨지고 있다. 안타깝게도 레퀴엠은 모차르트의 가장 마지막 작품이면서 미완성 작품으로 남는다. 레퀴엠은 기독교 신앙을 밑바탕으로 보편적인 인간적 감동을 표현하려 했다. 특히 이 작품은 레퀴엠을 예배용 음악에서 예술감상용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을 받는다. 
  
브루크너 <테 데움>은 그의 곡 중 가장 잘 알려진 교회음악으로 네 명의 독창자, 8성부 합창, 대규모 오케스트라의 편성으로 쓰여졌다. 브루크
너는 스스로 이 곡을 두고 ‘내 일생의 자부심’ 이라는 말을 남겼다. 그의 생이 다할 즈음 9번 교향곡의 4악장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자, “이 <떼 데움>으로 4악장을 대신해도 좋다”는 유언을 남기기도 하였다.
 
1991년에 창단된 서울오라토리오(감독 최영철)는 서울시지정 전문예술단체로서 ‘위대한 유산시리즈’를 이어가며 베토벤 [장엄미사], 드보르작 [
레퀴엠], [스타바트 마테르], [테 데움], 베를리오즈 [레퀴엠], 베르디 [레퀴엠] 등 한국에서는 좀처럼 듣기 힘든 대규모 걸작들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프로그램]
 
W.A. Mozart < Requiem >  KV 626
A. Bruckner < Te Deum >  WAB 45
 
 
[프로필]
     
지휘  최영철(서울오라토리오 감독)
 
최영철 감독은 한양대학교,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Robert Shaw에게 합창지휘를, 오스트리아의 빈 국립 음대에서 오케스트라 지
휘를 전공하였다. 그리고 거장 Miltiades Caridis로부터 오라토리오를 도제 수업하였다. 1991년부터 서울오라토리오 합창단, 오케스트라, 드보르작 아카데미 등을 차례로 설립하여 이끌어오고 있는 최영철 감독은 한국과 유럽에서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오라토리움 마에스트로로 유명하다. 또한 지난 36년간 ‘음악의 원리와 원칙’을 밝히는 연구를 해온 최영철 감독은 위법(Palestrina Style I,II-영문본)과 화성학(Harmony)을 출판하였다. 이를 통해 순수 대위법과 전통화성을 역사상 최초로, 그리고 정확하게 정리한 음악학자로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늘 우리 민족의 혼이 담긴 위대한 문화유산에 자긍심을 갖고 이를 세계화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기여해 왔으며, 동서양 음악문화융합이론의 기틀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그 일환으로 7년의 계획을 세우고 전 유럽에 우리 문화의 뿌리를 알리기 위해 음악회와 국제 학술세미나, 심포지움을 열어가고 있다.
 
유럽과의 문화, 연주, 교육교류에 앞장서 온 그의 이러한 업적들이 높이 평가되면서 체코 정부는 실버 메달과 문화외교 최고 영예인 'Gratias
Agit'상을 수여하였다. 아울러 안토닌 드보르작 3세(작곡가의 친손자)는 최영철 감독을 작곡가의 위업을 계승할 후계자로 지목하고 가족의 일원으로서 양자로 받아들였다. 그 증표로 드보르작 흉상과 교향곡 9번<신세계로부터>의 초판본 및 여러악보들, 친필 서신 등을 기증하였다. 최영철 감독은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콩쿨'의 감독과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성악콩쿨'의 집행위원 및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4회에 이르러 세계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콩쿨로서 자리매김 하면서, 그는 지휘자로서, 학자로서, 감독으로서, 드보르작의 후계로서 무겁고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다.
 
국경과 민족을 뛰어넘은 이러한 업적들은 대한민국은 물론 세계 음악계에서도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기념적인 업적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그는 ‘자신의 이름을 알리기보다는 연주를 통해 작곡가가 진심으로 존경 받기를 원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늘 음악의 본질을 숭상하며, 자신의 명성보다 위대한 작곡가들의 음악 이상과 업적을 알리고, 특히 음악의 뿌리를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의 문화저변확대를 위하여 찾아가는 음악회를 계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외교로서 체코를 비롯한 유럽지역에 한국의 음악과 발전상을 소개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W.A. Mozart < Requiem >  KV 626
 
Soprano. 임혜선
* 이화여자대학교 졸업
* 체코 프라하 콘서바토리/드보르작 아카데미
* 드보르작 [테 데움], 신년음악회, 저녁음악회, 가을을 노래하는 음유시인들, 목포시립교향악단 초청 갈라콘서트, 가족음악회 등 출연
*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콩쿨 축하음악회 등 수십 회 국내 및 해외연주회 솔리스트로 출연
* 한-체코 수교 25주년 기념음악회 초청 연주자
* [Lobgesang] 소프라노 솔리스트 오디션 1위
* Soli-Arte, Seraphim Ensemble 멤버
 
Alto. 문혜경
* 대한민국 유일의 오라토리움 Meister Singer.
* 드보르작 아카데미, 체코 프라하 콘서바토리 대학, 대학원 과정 및 최고 연주자 과정을 11년 동안 전액 장학생 및 수석졸업.
* 제1회 서울오라토리오 콩쿨에서 메조소프라노/알토 부문 1위와 대상.
* 2010-2015 매해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콩쿨의 폐막콘서트 초청 솔리스트 (체코 프라하)
* 예술의 전당에서 독창회 및 국내 및 해외의 크고 작은 음악회에 250회이상 출연.
* 오라토리움-베토벤[장엄미사], 베르디[레퀴엠], 드보르작[레퀴엠], [스타바트 마테르], [D장조 미사], 모차르트[레퀴엠], 브루크너[테 데움],
바하[b단조 미사], 멘델스존[엘리야], 페르골레지[스타바트 마테르], 하이든[넬슨 미사] 등 솔리스트.
* 서울오라토리오 감독 최영철 사사, 프라하 콘서바토리 Brigita Sulcova 교수사사.
* [원리를 찾아가는 청음과 시창], [딕션과 발성] 교재, [비화성음 연구] 논문 집필 중.
* 현재, 드보르작 아카데미/프라하 콘서바토리 교수.
* Soli-Arte와 Seraphim Ensemble 리더
* 드보르작 아카데미 대위/화성 수석연구원

Tenor. 곽윤섭
* 프라하 콘서바토리/드보르작 아카데미 대학원과정 졸업
* 제1회 서울오라토리오 콩쿨 테너 부문 2위
* 구노 [장엄미사], 드보르작 [D장조 미사], 베토벤 [장엄미사],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레퀴엠], 하이든 [천지창조], 영혼을 울리는 음악
회, 모차르트 [고아원미사],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 가을맞이 가곡의 밤, Abendmusiken, 송년·신년음악회, 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음악, 사랑의 음악회 솔리스트 등 수많은 국내와 해외의 무대에 출연,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콩쿨 축하음악회 초청 솔리스트
* 체코 프라하 콘서바토리 Jirina Markova 사사.
* 한-체코 수교 25주년 기념음악회 초청 연주자
* 현, 서울오라토리오 Soli-Arte, Seraphim Ensemble 멤버
 
Bass. 박의현
* 세종대 성악과 졸업
* 독일 쾰른 국립 음대에서 석사를 Prof. Robert Schunk에게 사사하였으며 최고연주자 과정을 Prof. Thomas Piffka에게 사사하고 최고 점수로 졸
업.
* 학생 시절부터 아헨 시립극장, 겔젠키르혠 시립극장, 트리어 시립극장에서 오페라 Der Freisch?tz, Don Carlo, Orpheus, Die Zauberfl?te, A
midsummer nights dream에서 주조역을 연주.
* 브루크너의 Te Deum, 티펫의 A Child of our Time, 안드리쎈의 L'Histoire de l'enfant de Dieu, 모차르트의 Vesterae solennes de
Confessore, 찜머만의 Psalmkonzert, 그리고 바하의 Weihnachts Oratorium, Christe ?tzet diesen Tag을 독일 쾰른과 아헨에서 베이스 솔로로 활동.
* 현재 2월에 한국으로 귀국하여 여러 연주회에 활동중.
 
 
A. Bruckner < Te Deum >  WAB 45
 
Soprano. 김보라
* 성신여자대학교 졸업
* 체코 프라하 콘서바토리/드보르작 아카데미 대학원 과정
* 젊은 아티스트들의 아름다운 하모니 “가을의 향기”, 가슴이 따뜻해지는 힐링콘서트 “2014 송년음악회” 솔리스트
* 2016 서울오라토리오 해외연주회 솔리스트
*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콩쿨 축하음악회 등 수십 회 국내 및 해외연주회 출연
* Soli-Arte, Seraphim Ensemble 멤버
 
Alto. 홍지영
* 프라하 콘서바토리/드보르작 아카데미 대학원과정 졸업
* 모차르트 [대관식 미사],[고아원 미사], 하이든[천지창조],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 콩쿨 축하콘서트 솔리스트
* 저녁음악회, 가을맞이 가곡의 밤, 사랑의 음악회, 송년,신년 음악회, 아름다운사람 아름다운 음악, 오색 음악회등 크고 작은 음악회에 출연하여
한국가곡, 오페라 및 오라토리오 아리아 연주
* 문혜경, Jitka Sob?hartov?, Monika Brychtov?, Lenka ?m?dov? 사사.
* 서울오라토리오 Soli-Arte, Seraphim Ensemble 멤버
 
Tenor. 성영규
* 호소력 있는 목소리와 뛰어난 음악성으로 국내외의 유명 무대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성악가
* 오라토리오, 가곡, 오페라를 넘나드는 레퍼토리, 특히 베르디[레퀴엠], 푸치니 [토스카][투란도트]에서 뛰어난 역량을 지님.
* 서울오라토리오 콩쿨 1위, 콩쿨기념음악회 하이든[넬슨미사] 솔리스트로 데뷔
* 베르디 [레퀴엠], 부르크너 [테 데움], 멘델스죤[엘리야] 및 저녁음악회<Abendmusiken>, 사랑의 음악회, 특별 연주회등 200여회 솔리스트 출연
* 2008-2009 서울오라토리오 해외연주회 [스타바트 마테르], [사랑의 음악회] 솔리스트, 2012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콩쿨의 폐막콘서트 초청
솔리스트(체코 프라하)
* 체코 프라하 콘서바토리/드보르작 아카데미 졸업. Jirina Markova, Jiri Kubik 사사.
* 드보르작 아카데미 교수, Soli-Arte와 Seraphim Ensemble 단원
 
Bass. 정호용
*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립음대(Universit?t f?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Wien) 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최고연주자 과정을 최고점수로 (mit Auszeichnung) 수석 졸업.
* 오스트리아 비엔나 쉔부룬 궁전, 바덴, 독일 아샤펜부르크, 엠덴 등 5개 도시 극장에서 객원 오페라 가수로 출연.
* 슈베르트 미사 D.167의 베이스 독창자, 트라이스마우어(Traismauer Ocherster)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등 다양한 연주를 통해 활발한 연주 활동
* 바이로이트 극장의 음악감독인 지휘자 Christoph Ulrich Meier 로 부터 '설득력있는 목소리와 유연한 음악성이 어우러진 가수' 라는 평가를 받
기도 하였던 그는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돈 죠반니>,<마술피리>,<랭스로의 여행>,<오르페오>,<에프게니 오네긴> 과 같이 여러 장르의 오페라를 소화해내고 있다.
* 하이든 <천지창조>에서 라파엘 역으로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독창자로 연주한 바 있다.
 
Organ 신지현
* 체코 프라하 콘서바토리/드보르작 아카데미 졸업
* 2010 바이올린 독주회, 2011년 갈라콘서트, 2012, 2014년 국제 안토닌 드보르작 작곡콩쿨 축하음악회 출연(체코 프라하)
* 메조소프라노 문혜경 독창회, 테너 성영규 독창회 반주
* 영혼을 울리는 음악회, 드보르작 [스타바트 마테르], [레퀴엠], 베토벤 [장엄미사] 오르간 연주
* 오라토리움 전문반주자로서 드보르작 [테 데움],  멘델스죤 [엘리야], 케루비니 [레퀴엠], 하이든[천지창조], [넬슨미사], 부르크너 [테 데움],
모차르트 [레퀴엠], 베르디 [레퀴엠], 헨델 [메시아] 등 연주
* 저녁음악회, 신나는 예술여행, 찾아가는 음악회, 기업 초청 음악회에서 오라토리오, 오페라 아리아 및 가곡, 기악곡 반주와 독주
* 현재, 서울오라토리오 상임반주자, 드보르작 아카데미 출강
 
 
서울오라토리오 합창단, 오케스트라
 
서울오라토리오는 서울시지정 전문예술단체로서 오라토리움 음악의 계승 및 발전과 사랑의 실천을 목표로 설립된 음악예술 연주/연구/교육기관이
다. 1991년으로부터 시작된 포괄적 장기계획에 따라 합창단, 드보르작 아카데미, 오케스트라가 차례로 설립되었으며, 바르고 건전한 문화의 터전을 이룩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금까지 정기연주회, Abendmusiken(저녁음악회), 특별연주회, 어린이·청소년 합창단 정기연주회, 해외연주회 등 국내와 해외의 무대에서 활발하
게 활동하고 있다. 아울러 문화의 발길이 닿지 않는 문화소외지역이나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어려운 이웃들에게 나눔을 실천하는 '사랑의 음악회'도 끊임없이 계속해오고 있다.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 미 지참시에는 현장에서 차액을 지불한 후 관람이 가능합니다. - 후원회원, 골드회원 30% - 블루회원, 예술의전당우리V카드 20% - 싹틔우미회원 본인 40% - 노블회원 본인 40% - 예술인패스 소지자 본인 30% (예술인패스 카드 현장제시)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1급~3급) 본인 및 동반1인 50% / (4급~6급)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1인 50% - 유족증(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관람석 총 2,505석

  • 일반 판매석2,481석
  • 휠체어석24석

콘서트홀국내 최초 콘서트 전용홀로 지어진 연주장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콘서트홀 1층 좌석도 1층A블록4열2번 1층A블록3열8번 1층A블록10열2번 1층A블록10열10번 1층A블록15열2번 1층A블록15열11번 1층A블록18열2번 1층A블록18열9번 1층A블록21열2번 1층A블록21열6번 1층B블록4열3번 1층B블록4열8번 1층B블록10열3번 1층B블록10열9번 1층B블록14열3번 1층B블록14열10번 1층B블록18열3번 1층B블록18열11번 1층B블록21열3번 1층B블록21열12번 1층C블록4열1번 1층C블록4열6번 1층C블록4열12번 1층C블록10열1번 1층C블록10열7번 1층C블록10열13번 1층C블록14열1번 1층C블록14열8번 1층C블록14열14번 1층C블록18열1번 1층C블록18열8번 1층C블록18열15번 1층C블록21열1번 1층C블록21열8번 1층C블록21열15번 1층D블록4열3번 1층D블록4열8번 1층D블록10열3번 1층D블록10열9번 1층D블록14열3번 1층D블록14열10번 1층D블록18열3번 1층D블록18열11번 1층D블록21열3번 1층D블록21열12번 1층E블록4열3번 1층E블록4열9번 1층E블록10열2번 1층E블록10열10번 1층E블록15열2번 1층E블록15열11번 1층E블록18열2번 1층E블록18열9번 1층E블록21열2번 1층E블록21열6번 합창석H블록1열2번 합창석H블록1열15번 합창석H블록2열2번 합창석H블록2열11번 합창석H블록2열19번 합창석H블록3열2번 합창석H블록3열23번 합창석H블록4열2번 합창석H블록4열11번 합창석G블록2열3번 합창석G블록2열10번 합창석G블록2열32번 합창석G블록2열29번 합창석G블록4열3번 합창석G블록4열12번 합창석G블록4열18번 합창석G블록4열27번 합창석G블록4열35번 합창석F블록1열2번 합창석F블록1열15번 합창석F블록2열2번 합창석F블록2열11번 합창석F블록3열2번 합창석F블록3열23번 합창석F블록4열2번 합창석F블록4열12번
  • 1층 1,508석

    • 일반석1,226석
    • 휠체어석8석
    • 합창석274석
콘서트홀 2층 3층 좌석도 2층A블록2열2번 2층A블록2열17번 2층A블록4열2번 2층A블록4열10번 2층A블록4열18번 2층A블록6열2번 2층A블록6열18번 2층B블록2열2번 2층B블록2열9번 2층B블록4열2번 2층B블록4열10번 2층B블록6열2번 2층B블록6열12번 2층C블록2열3번 2층C블록2열9번 2층C블록4열3번 2층C블록4열10번 2층C블록6열3번 2층C블록6열10번 2층D블록2열2번 2층D블록2열9번 2층D블록4열2번 2층D블록4열10번 2층D블록6열2번 2층D블록6열12번 2층E블록2열2번 2층E블록2열17번 2층E블록4열2번 2층E블록4열10번 2층E블록4열18번 2층E블록6열2번 2층E블록6열18번 2층 BOX1 3번 2층 BOX2 6번 2층 BOX3 6번 2층 BOX4 5번 2층 BOX5 5번 2층 BOX6 4번 3층A블록2열3번 3층A블록4열4번 3층A블록4열13번 3층A블록6열2번 3층A블록6열8번 3층B블록4열4번 3층B블록6열4번 3층C블록4열2번 3층C블록4열9번 3층C블록6열2번 3층C블록6열11번 3층D블록5열2번 3층D블록5열11번 3층D블록7열2번 3층D블록7열12번 3층E블록4열2번 3층E블록4열9번 3층E블록6열2번 3층E블록6열11번 3층F블록4열2번 3층F블록4열6번 3층F블록6열2번 3층F블록6열7번 3층G블록2열3번 3층G블록4열2번 3층G블록4열11번 3층G블록6열2번 3층G블록6열8번 3층M블록1열8번 3층N블록1열8번 3층 BOX7 5번 3층 BOX8 5번 3층 BOX9 8번 3층 BOX10 8번 3층 BOX11 5번 3층 BOX12 5번
  • 2층 568석

    • 일반석552석
    • 휠체어석16석
  • 3층 429석

    • 일반석429석

모차르트 레퀴엠, 브루크너 테데움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5.04.26(토)
작품명 모차르트 레퀴엠, 브루크너 테데움
종합평점 *
0
(0 / 최대 4000자) 관람평은 4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내용 입력 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방문·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