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시간]
오전 11시 - 오후 8시 (입장마감 오후 7시)
※ 정기휴관 9/25(월)
※ 9/22(금), 9/23(토), 9/29(금)은 야간연장개관 진행합니다. (오전 11시 - 오후 9시)
[문화가 있는 날]
- 매월 마지막 수요일은 문화가 있는 날! (9/27)
- 무료입장
- 야간연장개관 진행 : 오전 11시 - 오후 9시
[작가와의 만남]
9/20(수), 9/23(토), 9/24(일), 9/27(수), 9/29(금) 오후 3시
[작가소개]
작가 김품창은 1966년 강원도 영월생으로 영주에서 성장하여 추계 예술대학 미술대학 동양화과를 졸업한 후, 권위 있는 미술대전에서 수상을 하였으며 서울에서 화업을 쌓고 17년 전 제주로 정착하여 그 일을 이어가고 있다.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와 권위 있는 공모전 심사를 하고 있으며 단체전과 초대전을 비롯하여 사회 기여적인 기획전에도 참여하고 있다. 작가로써 뿐만 아니라 교육과 지역사회 전반의 공공적 가치에도 남다른 관심이 있어 사랑채와 같은 공간에서 삶을 나누고 교류하며 작업하는 소박한 이상을 갖고 있다. 그의 부인 장수명은 수십 편의 동화를 집필한 문학가로 부인이 집필한 동화에 삽화가로 참여 하기도 하였으며 이들의 삶과 이야기들은 KBS, SBS, MBC뉴스데스크와 KBS문화 산책, EBS, 한국기행과, 휴 채널, 3D 방송, 지역 TV,라디오와 다큐프로그램에 소개되어 잔잔한 공감을 선사하고 있다.
[기획의도]
이번 전시는 2001년 서울 도심을 떠나 제주에 정착한지 17년이 되는 화가 김품창의 작품전으로써 이전 전시로는 서울과 제주에서 어울림의-공간과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으로 제주의 소재인 한라산, 바다, 밤하늘, 별, 해녀, 고래, 문어, 갈매기, 소라, 인어, 외계인, 귤나무, 야자수 등의 소재로10여 차례 선 보였던 것과 제주신화를 영역에 포함시켜 맥을 같이하는 전시회이다.
요즘 들어 현대인들은 각박하고 메마른 도시 생활에 지쳐 자기의 정체성을 찾으려고 삶의 터전을 바꾸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삶에 있어서 인간 존재 가치에 대한 것이 우선시되기 때문이다.
김품창의 그림은 2001년 제주의 아름다운 풍경과 풍광을 시작으로 2004년 어울림의 공간, 2009년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을 테마로 제주를 동화적 판타지 세계를 표현 하고 있다.
그림에서는 하늘, 땅, 바다의 구별을 두는 것을 중요시 하지 않는다.
표현되어 지는 모든 대상들 모두가 둘이 아닌 하나로 귀결된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들은 서로의 독립된 존재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그림에서는 서로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고 평화와 공존 사랑과 소통을 이야기한다.
즉 인간 중심적인 사고는 인간의 우월적인 사고에서 나온 것이며 이는 곧 대 자연의 질서와 순리를 거스르는 잘못된 사고의 발상인 것이다.
김품창은 대 자연 속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는 존재에 대한 가치적 측면에서 다른 생명체들과 동등 하다고 생각 하고 서로의 존재 가치를 인정 하고 존중하며 사랑하는 세계를 동화적으로 풀어내어 각박한 도심 속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진정한 삶의 아름다움은 서로를 인정하고 소통과 사랑을 제주의 나무와 숲을 판타지로 승화시켜 보여 주고자한다
[전시목적]
김품창은 그동안 대 자연 속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는 존재에 대한 가치적 측면에서 다른 생명체들과 동등 하다고 생각 하고 서로의 존재 가치를 인정 하고 존중하며 사랑하는 세계를 동화적으로 풀어내어 각박한 도심 속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진정한 삶의 아름다움을 이야기 하고 또 서로를 인정하고 소통하며 사랑하는 이야기를 제주 판타지로 승화시켜 보여 주었다. 이번 전시 또한 맥을 같이 한다.
또 이번 전시를 통해서 유네스코 제주 자연 유산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무차별 무계획적 개발로 파괴되어가는 제주 자연을 절대 보존해야할 가치 인식의 효과를 주는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각박한 현실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위안과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번 전시회를 통하여 김품창은 2016년 한가람 미술관에서 개최된 김품창 제주 15년 展에서 관람객 만 명 이상의 큰 호응에 버금가는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연혁]
개 인 전
2017년 어울림의 공간-제주환상 김품창 초대전 (제주국제 컨벤션센터 ICC JEJU 갤러리)
2016년 김품창 제주15년 어울림의 공간-제주환상 (유디갤러리 초대전)
2016년 김품창 제주15년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2015년 김품창 제주 15년 (서귀포 예술의 전당)
2014년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김품창 ‘제주의 꿈을 그리다’ (가나인사아트센터)
2013년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가나인사아트센터)
2011년 김품창 초대전. 제주도, 그 하늘 아래 (갤러리 익)
2011년 김품창 제주10년을 훔치다 展 (가나인사아트센타 4층 전관)
2007년 인사아트 페스티발 김품창 초대 展 (우림화랑)
2007년 제주 어울림의 이상세계 초대전(토포하우스-서울)
2007년 인사아트 제주 어울림의 이상세계 (부산 시민회관)
2006년 김품창 제주 어울림의 이상세계 (Gallery LIZ)초대전
2005년 제1회 개인전 (갤러리 AKA seoul)
단 체 전
2016년 영암군 초정전시(영암 아천 미술관)
한.중 현대미술 교류전(제주 문예회관)
68주년 4.3초대전‘평화 슬픔에 핀 평화의 꽃’(제주4.3평화 기념관)
2015년 KIFE 국제화랑 미술제 일본 후지화랑 (코엑스. 서울)
의정부 현대미술 초대전 (의정부 예술의전당)
서귀포시 교육발전 기금마련 아트페어 ‘공감 그리고 나눔’(기당미술관)
갤러리 비오톱 오픈전시 초청 (비오톱)
밀라노 EXPO ‘한국인의 날’ 기념 광복70주년 현대미술전(이탈리아 밀라노 villa Clerici Milano)
한. 중 예술교류전 (중국 단동시)
서귀포 예술의전당 개관기념 초대전 (서귀포 예술의전당)
아트코리아 아트 페어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
가정의 달 특별기획 가족일기 (양평군립미술관)
2014년 제주사랑 희망 나눔 展( kbs 제주)
2013년 추계예술대학교 동문전(추계미술관)
2011년 자연이 준 선물 (이중섭 미술관)
이중섭미술관 기획 드로잉 展 (서귀포 이중섭미술관)
섬에 사는 호랑이 展 (이중섭 미술관)
2009년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 (예술의 전당)
한국미술협회 展 (서울 갤러리 각)
2008년 국민일보 창간 20주년 현대미술 초대전(세종문화회관)
호텔 아트페어 (서울 라마다호텔)
2007년 한국미술의 조형과 빛깔 (한국미술센터 특별기획 초대전)
한국미술의중심전(한국미술센터)
2006년 세텍 아트페어 (한국무역전시 컨벤션 센타)
2006년 愛 展 (갤러리 다)
2001년 동연회 20주년 기념전 (종로갤러리)
2000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국립현대 미술관, 비구상부분)
구상전 (국립현대 미술관)
2000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인간과 자연)
제18회 동연전 (공평아트 센타)
1999년 MBC 미술대전(서울시립미술관)
제18회 동연전(공평아트 센타)
1998년 제17회 동연전 돌, 산, 물, 풀 전 (공평아트 센타)
1997년 MBC 미술대전(국립현대 미술관)
중앙미술대전 (호암갤러리)
한가람미술공모전(선화랑)
제16회 동연전 (서경갤러리)
1996년 동아미술제 (국립현대 미술관)
제15회 동연전 (종로갤러리)
1995년 제14회 동연전 (삼정아트스페이스)
1994년 뉴질랜드의회 의장초청,
한국작가초대전(뉴질랜드 오클랜드 엑스포지션 센타)
제13회 동연전(백악예원)
1993년 감성과 이성전(청남갤러리)
수 상
한국미술대전 특선 (미술시대)
한가람미술공모전 특선 (선화랑)
MBC 미술대전 2회 입선 (mbc방송국)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 한국미술협회)
중앙미술대전 입선 (중앙일보사)
동아미술제 입선(동아일보사)
구 상 전 입선 (사단법인 구상전)
심 사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회룡 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Collections 작품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art bank. ㈜ 태원. ㈜ 앤디포스. (주)길벗 출판사. (주) 월간에세이 외
[대표작품]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45 x 210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45 x 210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45 x 210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45 x 210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09 x 150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09 x 150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02 x 145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103 x 145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41 x 146cm 한지에 아크릴 2017
어울림의 공간 제주환상 40 한지에 아크릴 2017
비타민스테이션 내 위치
총 1개 전시실
비타민스테이션에 위치한 한가람미술관 제7전시실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소개할 수 있는 소규모 전시공간이다.
403㎡에 달하는 주전시실과 사무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시기획에 따라 다양한 공간연출이 가능하다.
어울림의 공간-제주환상展-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