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하기 SAC기획

2024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8월)

  • 기간 2024-08-17(토)
  • 시간11:00
  • 장소 콘서트홀
  • 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
  • 관람시간(분)120
  • 가격일반석 40,000원 / 3층석 20,000원
  • 주최예술의전당
  • 문의1668-1352

  • #토요콘서트  

2024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8월) 예매

홈으로

홈으로  >  공연/전시  >  진행·예정 프로그램

공유
※ 관람 연령 안내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 : 2017년 이전 출생자 (2017년생 포함) 및 초등학생 이상 입장 가능
- 중학생 이상 관람가 : 2011년 이전 출생자 (2011년생 포함) 및 중학생 이상 입장 가능
알립니다.

※ 이 음악회는 예술의전당이 기획 · 제작합니다.

※ 출연진과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예술의전당 디지털 스테이지 촬영으로 인하여 무대에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습니다.

티켓오픈공지
※티켓오픈
- 예술의전당 유료회원(골드,블루,그린,예당우리V카드) : 6월 18일(화) 오후 2시
- 예술의전당 일반회원(싹틔우미,노블회원 포함) : 6월 19일(수) 오후 2시

[공연소개] 

 

 2024년, 더욱 풍성하게 찾아온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는 바쁜 일상에 지쳐 평소 음악회를 찾기 힘든 직장인과 모처럼의 여유를 즐기려는 연인, 가족들도 편하게 찾을 수 있는 토요일 오전의 마티네 콘서트입니다. 설레는 주말의 시작, 수준 높은 연주와 친절한 해설로 꾸며지는 정통 클래식 음악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흥미로운 주제로 구성된 협주곡과 교향곡 전곡 연주로 만나는 다양한 레퍼토리는 마티네 그 이상의 감동을 선사할 것입니다.

 

여유로운 토요일 아침, <토요콘서트>와 함께 ‘예술’같은 순간을 만끽하시길 바랍니다.

 

[프로그램]

그리그 / 피아노 협주곡 a단조 Op.16

시벨리우스 / 교향곡 제3번 C장조 Op.52

 

[출연]

지휘 및 해설 | 홍석원

피아노 | 전지훈

연주 | 한경arte필하모닉

 [프로필]

 지휘 및 해설 | 홍석원

지휘자 홍석원은 한국인 최초로 클래식 음악의 본고장 오스트리아에서 오페라극장 수석 카펠마이스터를 역임하였다. 그는 교향악부터 오페라, 발레, 현대음악까지 모든 영역을 다룰 수 있는 지휘자로써, 언론과 음악계에서 ‘젊은명장’이라는 평가를 들으며, 한국 교향악계를 이끌어 나갈 선두 주자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대학교 작곡과 지휘전공 학사, 베를린 국립음대 지휘과 디플롬(Diplom)과정과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한 그는, 독일음악협회의 미래의 마에스트로에 선발되었고, 카라얀 탄생 100주년 기념 지휘 콩쿠르에서 3위에 입상하였으며 베를린 도이체 심포니 오케스트라,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슈투트가르트 남독일 방송 교향악단 등과 성공적인 연주를 가졌다. 또한 오페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어 독일 라이프치히 오페레타 콩쿠르에서 청중상을 받았고, 스위스 베른 오페라극장, 독일 마인츠 국립극장 등 여러 국가에 데뷔하여 호평을 받고,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티롤 주립극장의 수석 카펠마이스터로 선임이 되었다. 오스트리아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이자 자존심이라 할 수 있는 요한 슈트라우스의 오페레타 <박쥐>를 성공적으로 지휘하면서 20회 공연이 매진되는 성공과 함께, 평론가와 언론의 호평을 받았다. 티롤 주 대표지인 「티롤러타게스짜이퉁(TirolerTageszeitung)」은 “환상적인 음악! 지휘자 홍석원은 모든 관객들을 춤추게 하였다”라고 평하였고, 유럽 오페라 전문 잡지 「메르케어(Merker)」는 “지휘자 홍석원은 오케스트라로 하여금 가장 이상적인 슈트라우스 소리에 도달하도록 했다”라고 극찬하였다.

 

그는 한국에서도 평창올림픽기념 오페라 <동백꽃 아가씨>, , 그리고 2020년 코로나 시대 세계 최초의 전막 오페라 프로덕션으로 세계 클래식계가 주목하였던 국립오페라단의 마스네의 <마농> 등 굵직한 오페라 프로덕션을 완벽히 해석했다는 평을 들으며, 유럽 정통 오페라 지휘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2021년 국립극장 재개관 및 8.15기념 국립오페라단의 <나부코>, 그리고 2022년 베르디의 오페라 <시칠리아의 저녁기도> 한국 초연 등 기념적인 프로덕션을 지휘하며 호평을 받았다. 이미 40개가 넘는 오페라를 지휘한 그는 국내 오페라 지휘에 있어 독보적인 위치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 대부분의 주요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그는 심포니 분야에서도 관객, 평론가, 오케스트라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끊임없는 재초청을 받고 있다. 한경필 음악감독 재임기간 중 민간 오케스트라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킨 후, 광주시향에 취임하여 대부분의 공연을 매진시키고, 또한 교향악축제에서 쇼스타코비치 교향곡으로 2년 연속 역대급 호연이라는 평을 들으며 음악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또한 광주시향과 임윤찬 피아니스트와 함께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발매된 『베토벤, 윤이상, 바버』 음반은, 발매 당일에 플래티넘(1만장 이상 판매)을 달성해 클래식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며, 광주시향이 한국의 대표 오케스트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


피아노 | 전지훈

 

피아니스트 전지훈은 예원학교(명예졸업장, 예원을 빛낸 인물 표창취득) 재학 중 14세의 나이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 (Universität Mozarteum Salzburg) 학사과정(Bachelor)에 최연소 입학하였다. 17세의 나이로 장학금과 함께 모차르테움 국립음대 학사과정(Bachelor)을 최연소 수석(Mit Auszeichnung)으로 조기 졸업하였으며, 19세의 나이에 석사과정(Master-M.M) 최연소 수석졸업의 영예를 안았고, 이어서 Postgraduate 과정을 마쳤다. 이후 베를린 국립음대(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에 입학하여 전문연주자과정(Diplom)을 최고점수로 졸업(Note:1.0) 하였고, 2012년 베를린 국립음대(UdK)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을 졸업하였다. 귀국 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박사과정에서 Teaching Assistant로 전과정 전액장학금과 함께 2016년 “볼프강 림(Wolfgang Rihm, 1952-)의 초기 양식 연구” 논문과 함께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9년 비엔나 베토벤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50년 만에 한국인 최초로 준우승의 입상을 통해 그의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였으며, 비엔나 Josef Dichler 피아노 콩쿠르 1위, 17세의 나이에 포르투갈 Porto 국제 피아노 콩쿠르 3위 및 최연소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그는 일찍이 한국일보 콩쿠르 전체 대상, 조선일보, 음연, 음악춘추, 틴에이져 콩쿠르를 비롯, Yehudi Menuhin – Live Music Now 오디션에 합격하여 장학금을 수여받았으며, Vladigerov 국제 피아노 콩쿠르 2위 및 Scarlatti 특별상 입상 등을 통해 그의 위치를 굳혀나가기 시작하였다.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의 유학 당시 Berlin Philharmonie, Salzburger Festspiel, Mozarteum Grossersaal, Mirabell Marmorsaal, Steinway & Sons House, Frohnburg Konzert Saal, Kaiser-Wilhelm Gedächtnis Kirche, Berliner Kammermusik Saal, UdK Konzert Saal, Yamaha Rising Artist Concert, Orff Institut Theater Saal, Mirabell Baroque Museum, Mozarteum Wiener Saal 등에서 수차례 솔로연주와 실내악연주 및 협연으로 연주활동을 하였다. 2006년 독일에서의 Solo CD-Recording과 2010년 “Return to Love" 음반을 발매하였고, Salzburg Mozarteum 국립음대 개관식 초청 연주(Tag der offenen Tür)에 참가해 현지 언론으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Mozarteum에서 주최된 피아니스트 Rudolf Buchbinder와 함께한 디아벨리 변주곡 전곡연주 프로젝트 외에도 다양한 연주활동으로 관객과 소통하고 있으며, 국내 외 다수의 협연과 독주회, 실내악 활동을 비롯, 대한민국 국제음악제와 그랜드피아노콘서트, 예술의전당 스페셜 베토벤 시리즈, 아르코 순회공연, Ditto Festival, 서울대학교 New Music Series Studio 2021, 옐로우 라운지 서울(Yellow Lounge Seoul), 아르츠콘서트 등에서 클라리네티스트 Prof. Chen Halevi, Prof. Roman Guyot, SNUA Ensemble, Timf 앙상블, Ditto 오케스트라, Ensemble 2021등과 다양한 실내악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이외에도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과의 수차례 듀오 연주와 함께 SBS, KBS, MBC 등 TV와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었고 2015년 Universal Music을 통해 리처드 용재 오닐과의 음반을 녹음, 세계적인 음반사인 Deutsche Grammophon을 통해 발매하였다. 2017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이 주관하는 “Studio 2021 - Nouvelles Etudes" CD-Recording에 참여하여 음반을 발매하였고, 2023년에는 세 차례에 걸쳐 대표적인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음반을 발매하였다.

 

세계적인 지휘자 Maestro Stefan Vladar가 이끄는 ORF Radio Symphony Orchestra와 비엔나 황금홀(Musikverein Goldener Saal)에서의 협연을 오스트리아 국영방송인 ORF 현지 생방송을 통해 중계되면서 큰 호평을 받았고, 그 외 Ukraine National Symphony Orchestra, Porto National Symphony Orchestra, 뮌헨 국립음대 오케스트라, 모차르테움 국립음대 오케스트라,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서울바로크합주단), 수원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청주시립교향악단,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부산오퍼심포니오케스트라, 뉴월드필하모닉오케스트라, Hungary Virtuoso Symphony Orchestra, Poland Kielce Symphony Orchestra, Austria "Cis" Chamber Orchestra, Bad-Reichenhall Symphony Orchestra, Shumen State Symphony Orchestra, KT Chamber Orchestra, Ditto Chamber Orchestra, Trio "Z-Art", Amadeus Ensemble 등과 한국, 유럽,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실내악 연주 및 협연 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으며, 2016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출판되고 있는 위르겐 우데(Jürgen Uhde)의 저서 <베토벤 32 피아노 소나타> 번역에 참여하였다.

 

베토벤의 서거 190주년을 맞아 2017년부터 시작된 베토벤 32 피아노 소나타 전곡시리즈 독주회를 2021년 롯데콘서트홀에서 성공적으로 완주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 후학양성에 힘쓰고 있다.


jiseok Jo


연주 | 한경arte필하모닉

 

한경arte필하모닉은 2015년 ‘경제와 문화의 가교’를 기치로 한경미디어그룹이 창단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급 지휘자들과 함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초대 음악감독 금난새에 이어 오스트리아 티롤주립극장 수석 지휘자를 역임한 홍석원이 2대 음악감독을 맡았으며 현재는 홍콩출신의 윌슨 응이 수석 객원지휘자로 활동 중이다.

 

한경arte필하모닉은 다채롭고도 품격 있는 정기연주회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을 대표하는 민간 오케스트라로, 2016년에는 전국 도시를 순회하며 문화 소외지역의 청소년들에게 고품격 음악을 선사하는 청소년 문화사랑의 날 투어를 개최해 청소년들의 문화 소양 함양에 크게 기여했다.

 

2018년 세계 최고 실내악단 이무지치와 합동공연을 열어 큰 관심을 모았고, 180인조 시민합창단과 베토벤 교향곡 제9번 4악장 ‘환희의 송가’를 연주해 시민참여형 공연의 대표적 성공 사례가 됐다. 2019년 홍석원의 지휘로 공연한 말러의 교향곡 제1번 ‘거인’도 음악인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는 교육부, 현대차 정몽구 재단과 함께 교과서의 모든 클래식을 연주해 녹음하는 교과서 음악회를 기획해 교육부 장관상을 수여한 바 있다. 또한 공연장에서 직접 관람할 수 없는 관객을 위해 베토벤의 ‘에그몬트’ 전곡을 국민배우 이정길과 온라인 스트리밍 공연했다. 2021년 국립오페라단과 방방곡곡을 돌며 전국 순회 오페라 공연을 진행하였고 2022년에는 한·오스트리아 수교 130주년을 기념한 발레음악 <코레아의 신부>를 국내 전곡 초연해 큰 박수를 받았다.

 

2022년 한국을 이끄는 음악가 시리즈와 2023년 한경arte필하모닉 더클래식2023 시리즈 등 창단 이래 60여회의 정기연주회를 개최했으며 현대무용의 거장 쟝 크리스토프 마이요가 이끈 몬테카를로 발레단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공연했다. 2024년 3월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 초청 받아 윌슨응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이탈리아 라 스칼라 발레단과 <해적>을 공연했다. 5월에는 일본의 후쿠야마 국제음악제에도 초청을 받아 한-일 문화 교류에도 이바지했다.

※ 현장에서 티켓 수령 시 할인에 해당하는 증빙자료(학생증, 신분증, 복지카드, 유공자증 등)를 제시하지 못할경우 차액 지불 후 공연 관람 가능
※ 3층석, 합창석 모든 할인에서 제외(*단, 복지할인은 전 등급 할인 가능)
- 블루 · 예술의전당 우리V카드 회원 20% (5매), 그린회원 20% (2매)
- 싹틔우미회원 본인 4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노블회원 본인 40% (1매 / 본인 신분증 확인)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1급~3급/중증) 본인 및 동반 1인 50%
- 장애인 복지카드 소지자 (4급~6급/경증) 본인 50%
- 국가유공자증, 의상자(1~2급)증 / 소지자 본인 및 동반 1인 50%
- 유족증 (국가유공자,의사자), 의상자(3급이하)증 / 소지자 본인 50%
- 후원회원 25% 10매 (일반석에 한함)
- 골드회원 20% 5매 (일반석에 한함)
- 다둥이카드 소지자 20% 1매 (일반석에 한함 / 1인 1매 / 다둥이카드 + 소지자 본인 신분증 현장 제시 / 대상카드 참고 링크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1126&ccfNo=5&cciNo=2&cnpClsNo=3)
-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50% 1매 (일반석에 한함 / 티켓 수령 시 본인명의의 문화누리카드 제시)
- 예술인패스카드 소지자 30% 1매 (일반석에 한함 / 본인명의 예술인패스카드 현장 제시)
- 병역명문가 10% 2매 (일반석에 한함 / 병역명문가증과 본인 신분증 제시 / 가족 1인 동반 시, 가족관계증명서 필참)
- 문화릴레이 할인 10% 2매 (일반석에 한함 / 1인 2매 / 2023년-2024년 공연 유료티켓 소지자 / 참여단체 : 국립국악원, 국립극단, 국립극장,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정동극장, 국립합창단, 국립현대무용단, 경기아트센터, 서울예술단, 성남문화재단. 세종문화회관, 안산문화재단, 예술의전당, 통영국제음악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재재단)

관람석 총 2,505석

  • 일반 판매석2,481석
  • 휠체어석24석

콘서트홀국내 최초 콘서트 전용홀로 지어진 연주장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공연장 좌석배치도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콘서트홀 1층 좌석도 1층A블록4열2번 1층A블록3열8번 1층A블록10열2번 1층A블록10열10번 1층A블록15열2번 1층A블록15열11번 1층A블록18열2번 1층A블록18열9번 1층A블록21열2번 1층A블록21열6번 1층B블록4열3번 1층B블록4열8번 1층B블록10열3번 1층B블록10열9번 1층B블록14열3번 1층B블록14열10번 1층B블록18열3번 1층B블록18열11번 1층B블록21열3번 1층B블록21열12번 1층C블록4열1번 1층C블록4열6번 1층C블록4열12번 1층C블록10열1번 1층C블록10열7번 1층C블록10열13번 1층C블록14열1번 1층C블록14열8번 1층C블록14열14번 1층C블록18열1번 1층C블록18열8번 1층C블록18열15번 1층C블록21열1번 1층C블록21열8번 1층C블록21열15번 1층D블록4열3번 1층D블록4열8번 1층D블록10열3번 1층D블록10열9번 1층D블록14열3번 1층D블록14열10번 1층D블록18열3번 1층D블록18열11번 1층D블록21열3번 1층D블록21열12번 1층E블록4열3번 1층E블록4열9번 1층E블록10열2번 1층E블록10열10번 1층E블록15열2번 1층E블록15열11번 1층E블록18열2번 1층E블록18열9번 1층E블록21열2번 1층E블록21열6번 합창석H블록1열2번 합창석H블록1열15번 합창석H블록2열2번 합창석H블록2열11번 합창석H블록2열19번 합창석H블록3열2번 합창석H블록3열23번 합창석H블록4열2번 합창석H블록4열11번 합창석G블록2열3번 합창석G블록2열10번 합창석G블록2열32번 합창석G블록2열29번 합창석G블록4열3번 합창석G블록4열12번 합창석G블록4열18번 합창석G블록4열27번 합창석G블록4열35번 합창석F블록1열2번 합창석F블록1열15번 합창석F블록2열2번 합창석F블록2열11번 합창석F블록3열2번 합창석F블록3열23번 합창석F블록4열2번 합창석F블록4열12번
  • 1층 1,508석

    • 일반석1,226석
    • 휠체어석8석
    • 합창석274석
콘서트홀 2층 3층 좌석도 2층A블록2열2번 2층A블록2열17번 2층A블록4열2번 2층A블록4열10번 2층A블록4열18번 2층A블록6열2번 2층A블록6열18번 2층B블록2열2번 2층B블록2열9번 2층B블록4열2번 2층B블록4열10번 2층B블록6열2번 2층B블록6열12번 2층C블록2열3번 2층C블록2열9번 2층C블록4열3번 2층C블록4열10번 2층C블록6열3번 2층C블록6열10번 2층D블록2열2번 2층D블록2열9번 2층D블록4열2번 2층D블록4열10번 2층D블록6열2번 2층D블록6열12번 2층E블록2열2번 2층E블록2열17번 2층E블록4열2번 2층E블록4열10번 2층E블록4열18번 2층E블록6열2번 2층E블록6열18번 2층 BOX1 3번 2층 BOX2 6번 2층 BOX3 6번 2층 BOX4 5번 2층 BOX5 5번 2층 BOX6 4번 3층A블록2열3번 3층A블록4열4번 3층A블록4열13번 3층A블록6열2번 3층A블록6열8번 3층B블록4열4번 3층B블록6열4번 3층C블록4열2번 3층C블록4열9번 3층C블록6열2번 3층C블록6열11번 3층D블록5열2번 3층D블록5열11번 3층D블록7열2번 3층D블록7열12번 3층E블록4열2번 3층E블록4열9번 3층E블록6열2번 3층E블록6열11번 3층F블록4열2번 3층F블록4열6번 3층F블록6열2번 3층F블록6열7번 3층G블록2열3번 3층G블록4열2번 3층G블록4열11번 3층G블록6열2번 3층G블록6열8번 3층M블록1열8번 3층N블록1열8번 3층 BOX7 5번 3층 BOX8 5번 3층 BOX9 8번 3층 BOX10 8번 3층 BOX11 5번 3층 BOX12 5번
  • 2층 568석

    • 일반석552석
    • 휠체어석16석
  • 3층 429석

    • 일반석429석

2024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8월)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관람평
쓰기
관람평이 없습니다.
예매 및 환불·변경안내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환불·변경 수수료
환불·변경 수수료
구분 환불수수료 비고
관람일 10일 전 전액 환불  
관람일 9일~1일 전 티켓금액의 10%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관람 당일 전당기획공연 티켓금액의 90%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대관공연 환불 불가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전시 상품 취소수수료 규정
- 전시 회차상품 : 예술의전당 대관 공연 기준 수수료 적용
- 전시 상시상품 : 예매 후 7일까지 미부과, 8일부터 10% 부과
티켓예매 시 결제수단
  • 신용카드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 * 온라인(PC/모바일) 예매
    • * 관람당일 현장매표소
    • * 서비스플라자 방문구매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 * 홈페이지(PC/모바일) 예매
결제수단별 환불처리 ※ 티켓예매시 사용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됩니다.
  • 신용카드

    카드사 승인취소

    • * 취소요청 후 4~5일내 취소
    • * 카드사환불기준에따라다름
    • * 체크카드 동일
    • * 취소수수료는 재승인 필요
  • 무통장(가상계좌입금)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취소요청 후 2일내 환급
    • * 은행 영업일 기준
    • * 실시간 계좌이체 불가
    • * 취소수수료는 제외하고 환급
예매취소 방법안내
  • 홈페이지 예매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전화 예매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 예매 후 티켓 소지하고 있는 경우(방문예매, 우편배송 등)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

  • ※ 부분취소

    • 기본적으로 부분취소 가능합니다.
    • 단, 기프트 카드 등을 사용하여 결제한 경우에는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1+1, 3인 할인 등 특정 매수 제한이 있는 할인권종으로 예매하신 경우 부분취소를 하실 수 없고, 전체취소만 가능합니다.
    • 예매 내역에 따라 부분 취소 가능여부가 달라지오니 서비스플라자 콜센터(1668-1352)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수령 안내
  • 현장매표소
    • * 공연당일 수령
    • * 공연시작 1시간 30분전부터 중간휴식시간까지
    • * 중간휴식이 없는 경우 공연시작 후 30분까지 운영
  • 서비스플라자
    • * 위치 : 비타민스테이션 내
    • * 운영시간 : 09:00~20:00, 월요일의 경우 09:00~18:00
    • * 문의 : 1668-1352(연중무휴)
    • * 타예매처 티켓 수령불가
  • 우편 배송 신청
    • * 배송신청 : 온라인,전화예매 시 공연일 14일전까지
    • * 이용료 : 1회 배송시 3,200원 선결제
    • * 수령일 : 배송신청 후 5일 이내 수령 (영업일 기준)
  • 티켓수령시 유의사항
    • 증빙이 필요한 할인(쿠폰,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학생, 문화릴레이, 당일할인티켓 등)의 경우, 본인이 직접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수령이 가능합니다.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할인 받은 만큼 차액을 지불하시면 관람이 가능합니다.
    • 공연 시작 직전에는 현장매표소가 매우 혼잡하오니 되도록 공연 30분전까지 티켓을 수령 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평쓰기 close

관람평쓰기
작성자 비회원손님 2024.06.28(금)
작품명 2024 예술의전당 토요콘서트(8월)
종합평점 *
0
(0 / 최대 1000자) 관람평은 1000자까지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 작품만족도작품성, 완성도, 무대, 출연자 등

    0
  • 관람비용 만족도가격, 할인 등

    0
  • 홈페이지 정보 만족도홈페이지 홍보, 작품소개 등

    0
  • 서비스 만족도티켓구매, 객석입장, 공연환경 등

    0

선택입력

선택입력
공개여부
(공개설정한 관람평은 작품 상세정보와 ‘참여·공감·이용>공감>관람평’에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