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
A. Vivaldi: Violin Concerto in g-minor, RV 317
A. Vivaldi: Le quattro stagioni (The Four Seasons)
Profile
한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쳐가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윤유경은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이 활동하였던 오스트리아 에스테르하지 궁전 내 하이든홀에서 한국인 바이올리니스트 최초로 초청 받아 하이든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을 독일 폭틀란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Vogtland Philharmonic Orchestra)와 협연하며 성황리에 마친
바 있으며, 세계적인 음악축제 ‘프라하의 봄 국제 음악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이기도 한 체코 프라하 스메타나홀(Smetana Hall)에서 오스트리아 모차르테움 첼로 교수인 Giovanni Gnocchi와 이탈리아출신 피아니스트 Lorenzo di Bella와 베토벤의 바이올린,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삼중협주곡을 북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North Czech Philharmonic)과 성공적으로 호흡을 맞췄다. 그 외에 독일 Neue Philharmonie Westfalen
, Bochumer Symphoniker, Szolnok Symphony Orchestra, Marchigiana Philharmonic Orchestra, Romanian Philharmonic Orchestra, Naonis donatello Orchestra 등 유럽 및 국내 주요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켜 가고있다.
한국에서는 예술의 전당과 대전 예술의 전당에서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Ilya Rashkovskiy와 함께 성공적인 귀국독주회를 마치고 '협주곡 시리즈'라는 매우 특색있는 독주회로 관객들과 함께하고 있으며, 롯데콘서트홀, 대전시립연정국악원, 대구수성아트피아, 부산문화회관 등에서 음악감독 송영훈의 하이든페스티벌, 한밭신인음악회, 대전음악제, 유망주초청연주회, A.H.C.P대전 앙상블페스티벌 등 실내악에도 뛰어난 면모를 보여주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Vivaldi 국제콩쿠르, World Classical Music 국제콩쿠르, 이탈리아 Amigdala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하였으며, Luigi Zanuccoli 국제콩쿠르, Köhler-Osbahr Stiftung 콩쿠르, Schmolz und Bickenbach 콩쿠르, Sieghardt-Rometsch 콩쿠르 등에서 수상한 바 있다. 어릴 적부터 그 실력을 인정받아 Internationale Musikakademie Lichtenstein과 Crans-Montana Classics 페스티벌에서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슐로모 민츠(Shlomo Mintz)에게 발탁되어 전액 장학생으로 초청받은 것을 비롯하여, 슬로베니아 Ljubljana Inernational Music Festival에서는 20세기 대가 바이올리니스트 이브리 기틀리스(Ivry Gitlis)의 Masterclass에 선발되어 연주 및 Ivry Gitlis 특집 다큐멘터리에 출연하였으며, 그는 ‘그녀의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은 정말 훌륭했다. 연주의 흐름은 창의적이고, 관객에게 매우 큰 즐거움과 강렬한 카리스마를 주었다.’ 라며 극찬했다.
다양한 편성의 실내악 팀으로 회계회사 PWC후원 초청연주를 비롯하여 여러 해에 걸쳐 연속으로 베토벤의 고장인 독일 본(Bonn) 베토벤 하우스에서 초청연주를 가졌으며, 지도교수 Andreas Krecher의 추천으로 독일 장학재단 DAAD의 후원을 받아 이탈리아 Montepulciano 실내악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저명한 독일 국립 음악 대학 교수인 Anthony Spiri(Piano), Ariadne Daskalakis(Volin), Matthias Buchholz(Viola), Leonid Gorokhov(Cello), Christian Wetzel(Oboe)와 함께 연주했다. 독일 두이스부르크 교향악단(Duisburger Philharmoniker)에서 장학생 및 단원을 역임하였으며 슈만 국립음대 오케스트라 수석, 대전 안디무지크 필하모닉에서 객원수석을 역임했다.
독일 뒤셀도르프 슈만 국립 음대에서 학사 수석 졸업과 동대학원 석사과정을 심사위원 전원 만장일치 최우수점수(Auszeichnung)으로 졸업했으며,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 역시 매우 우수한 점수로 졸업하였다.
현재 덕원예고, 계원예고, 인천예고에 출강하며 앙상블 슈파스 리더, 에라토 앙상블 단원, NYCMS ‘New York Classical Music Society’ 소속 아티스트, IMK international 소속 아티스트, 아트브릿지 소속 아티스트로 활발한 연주활동과 동시에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관람석 총 600석
2011년 문을 열었으며 2층으로 600석 규모를 갖춘 실내악 전용 공연장이다. 중규모의 클래식 음악 공연장이 신설됨으로써 우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한 새로운 요람이 마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무대 위 연주자들의 호연과 호흡이 객석까지 오롯이 전해지며 마치 무대 바로 옆에서 듣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평가가 있을 만큼 생생한 감동을 만끽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454석
2층 146석
바이올리니스트 윤유경의 콘체르토 시리즈 3 - 비발디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