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소개]
서울시립교향악단(대표이사 : 김주호)은 오는 7월 7일(목) 오후 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현대자동차와 함께하는 서울시향의 마스터피스 시리즈 Ⅲ>을 개최한다. 연중 4회 개최되는 마스터피스 시리즈는 관현악 걸작들을 만나는 시간으로 이번 공연에는 뉴질랜드 심포니 명예음악감독 제임스 저드의 지휘로 미국을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니컬러스 앤절리치의 협연무대가 준비되어 있다.
이번 연주회에서 관현악법의 혁명가 베를리오즈, 독일 전통음악과 절대음악을 계승한 브람스, 프랑스 기악음악 부흥의 선구자였던 생상스 등 낭만주의의 음악의 다양한 면면을 만날 수 있다.
이번 공연의 첫 곡은 베를리오즈의 ‘해적’ 서곡이다. 1844년 베를리오즈가 프랑스 휴양지 니스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던 중 격정적이었던 젊은 날을 추억하며 작곡한 곡이다. ‘해적(Le Corsaire)`라는 제목은 영국 시인 바이런의 극시에서 따온 것인데 이 작품은 바이런의 낭만주의 성향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속세의 위선에 염증을 느껴 해적이 된 콘래드라는 인물의 파란만장한 모험담을 다룬 이야기이다. 폭풍우가 이는 바다와 평온한 바다의 모습의 대비로 극적인 흐름을 팽팽하게 이어나간다.
내일의 클래식 슈퍼스타
북미 대표 피아니스트 니컬러스 앤절리치
“앤절리치는 마치 처음인 듯 이 작품을 사랑하게 만들어주었다.”
- 조프 브라운, 더 타임즈 -
미국을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니컬러스 앤절리치는 뛰어난 재능과 기량으로 차세대 거장의 자리를 넘보고 있는 예브게니 키신, 랑랑 등의 젊은 피아니스트들과 함께 음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카자드쥐 콩쿠르 2등, 지나 바카우어 콩쿠르 1등을 수상하며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2003년 쿠르트 마주어의 지휘로 뉴욕 필하모닉과 함께 뉴욕 링컨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하며 전세계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뒤투아, 유롭스키, 네제세겡, 피셔 등 세계적인 지휘자들과 로열 필하모닉, 프랑스 국립교향악단,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 프랑크푸르트 방송교향악단,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러시안 내셔널 오케스트라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해왔다.
2006년 그라모폰의 ‘내일의 클래식 슈퍼스타’ 20인에 선정된 앤절리치는 고전 및 낭만주의 레퍼토리에 있어서 인상적인 해석을 선보이며 동시대 피아니스트들 중 독보적인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음반 활동도 의욕적으로 펼치고 있는 그는 리스트와 브람스 레코딩으로 ‘르 몽드 드 라 뮈지크’의 쇼크상을 수상했으며 카퓌송 형제와 녹음한 브람스 트리오 레코딩은 독일음반비평가상을 받았고 르노 카퓌송과의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녹음은 디아파종 황금상 및 그라모폰 에디터스 초이스에 선정되었으며 최근 버진 클래식 레이블로 발매한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역시 호평을 받았다.
강건한 타건과 우아함의 공존
니컬러스 앤절리치가 펼치는 이국적 낭만주의의 향연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5번 ‘이집트’
앤절리치가 연주할 생상스의 피아노 협주곡 5번 ‘이집트’는 생상스가 피아니스트 데뷔 50주년을 기념하여 스스로 초연할 목적으로 작곡한 곡이다. 이 곡은 생상스가 이집트에 머물 때 작곡되어 ‘이집트’라는 부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 곡은 ‘이집트풍’보다는 ‘스페인풍’이나 ‘자바(섬) 풍’에 가까우며 이국적 색채가 낭만적 정서와 고전적 미감과 함께 균형을 이루며 이전의 피아노 협주곡들보다 기법적으로 한결 잘 다듬어져 있다. 구노는 노대가의 연륜을 느낄 수 있는 이 곡을 두고 “고상한 심성과 우아한 성품, 열정 속에 간직된 고요와 환상 속의 지성, 그리고 가장 혼란스런 감흥 속에서도 자제심을 잃지 않는 음악”이라고 했다.
앤절리치는 그동안 레코딩과 2006년과 2008년 서울시향과의 두 번의 협연무대를 통해 클래식 애호가들에게 고전부터 낭만주의 레퍼토리까지 정확한 테크닉에 풍부한 감수성을 갖춘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여 왔다. 또한 파리에서 프랑스 음악 해석에 있어서 독보적인 존재인 치콜리니에게 사사받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앤절리치가 연주하는 생상스는 기대 될 수밖에 없다.
경륜의 거장 제임스 저드가 지휘하는
브람스 마지막 교향곡
“말러를 실내악처럼 들리게 하는 것은 쉽지 않다.
진짜 지휘자만이 그것을 안다.”
- 이브닝 스탠더드 -
영미권 음악해석의 권위자로 널리 알려진 지휘자 제임스 저드는 뉴질랜드 심포니의 명예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프랑스 릴 국립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지휘자 및 플로리다 필하모닉 음악감독을 역임했다. 뉴질랜드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낙소스 레이블로 많은 레코딩을 진행하고 있으며 플로리다 필하모닉 음악감독으로 14년 동안 재임하는 동안 말러 교향곡 1번 레코딩은 <스테레오 파일>의 ‘이달의 레코딩’, ‘디아파송 황금상’을 받았고,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구스타프 말러 협회로부터 최고의 말러 레코딩으로 꼽히며 ‘토블라흐 작곡 오두막’상을 수상하여 무명의 플로리다 필하모닉을 전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했다.
유럽 체임버 오케스트라 창단주역이자 국제 말러협회에서 ‘최고의 말러 지휘자’로 선정되기도 했던 그는 1971년 런던 트리니티 컬리지를 졸업한 후 1973년 능력 있는 지휘자를 발탁하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로린 마젤에 의해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의 부지휘자에 임명된다. 이후 클라우디오 아바도에 의해 EU 커뮤니티 유스 오케스트라의 부음악감독으로 초빙되었으며 베를린 필하모닉, 라이프치히 게반트 하우스, 스위스 로망드 등 세계 주요 교향악단을 지휘한 풍부한 경력의 소유자이다.
낭만주의 교향곡의 궁극의 형식미
브람스 교향곡 4번
브람스 나이 50대 초반에 작곡한 교향곡 4번은 그의 후기작에 속하지는 않지만 내성적이고 체념적인 분위기로 만년의 작품들에 드리운 짙은 우수와 적막감을 내포하고 있다. 그는 이 곡에서 베토벤을 위시한 고전주의 양식에 영향을 받은 1번과 2번 교향곡, 독자적인 교향곡 양식을 구축한 교향곡 3번보다 높은 차원으로 승화되어 흔히 ‘낭만적 내용과 고전적 형식의 융화’로 일컬어지는 독자적인 교향곡 양식을 완성했다. 강렬하고 극적인 1악장, 어두움과 경건한 종교적 분위기가 공존하는 2악장, 화려한 색채의 3악장, 전통적 교향곡 양식에서 탈피하여 파사칼리아 형식을 사용한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5년, 2006년, 2008년 서울시향과의 함께한 연주회에서 풍부한 연륜과 열정으로 수연을 펼친 제임스 저드는 열정적이며 폭넓은 음악적 해석, 오케스트라를 장악하는 능력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음을 국내 관객들에게 증명하였다. 이미 수차례 내한무대를 통해 평단은 물론 연주자, 관객 모두에게 극찬을 받은 그가 브람스 마지막 교향곡의 작품세계를 어떻게 표현할지 기대해보자.
[프로그램]
베를리오즈, 해적 서곡
Berlioz, Le Corsaire Overture Op.102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5번 F장조, 작품 103번 “이집트”
Saint-Saens, Piano Concerto No. 5 in F Major, Op.103 `Egyptian`
Ⅰ. Allegro
Ⅱ. Adante
Ⅲ. Molto Allegro
협연 : 니콜러스 앤절리치 Nicholas Angelich, piano
INTERMISSION
브람스, 교향곡 4번 e단조, 작품 98
Brahms, Symphony No. 4 in e minor, Op.98
Ⅰ. Allegro non troppo
Ⅱ. Andante moderato
Ⅲ. Allegro giocoso
Ⅳ. Allegro energico e passionato
[출연자]
지휘 : 제임스 저드 James Judd, conductor
영국 음악의 최고 해석자로 알려진 지휘자 제임스 저드는 낙소스 레이블로 현재 명예음악감독을 맡고 있는 뉴질랜드 심포니와 많은 녹음을 진행하고 있다. 프랑스의 릴 국립 교향악단 수석객원지휘자을 지낸 저드는 14년동안 플로리다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을 역임했다.
뉴질랜드 심포니의 음악감독으로 8년간 재임하면서 코플랜드, 번스타인 본 윌리엄즈, 거슈인 등을 녹음하였고, 오케스트라를 국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 시드니 올림픽 페스티벌, 오클랜드 페스티벌, 오사카 오케스트라 페스티벌 등에서 공연하였고, 키리 테 카나와와 밀레니엄 콘서트를 가졌다.
또한 동 교향악단과 2005년 BBC 프롬스에 데뷔하였고, 콘세르트허바우의 무대에 섰다.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 오케스트라와의 말러 교향곡 9번 녹음과 EU 커뮤니티 유스 오케스트라와의 10번 녹음은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으며, 할레 오케스트라와의 엘가 교향곡 1번 녹음은 레퍼런스 음반으로 인정받고 있다. 로열 필하모닉과의 브람스 교향곡 녹음도 있으며, 영미 작곡가들의 작품을 녹음중인 낙소스 레이블 프로젝트는 진행 중이다.
런던 트리니티 컬리지를 졸업한 그는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의 부지휘자를 지냈으며, 4년 후 클라우디오 아바도에 의해 EU 커뮤니티 유스 오케스트라의 부음악감독으로 초빙받았다. 이후 저드는 베를린 필하모닉, 이스라엘 필하모닉,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스위스 로망드, 취리히 톤할레, 로테르담 필하모닉 등을 지휘하였고, 유럽의 주요 공연장의 무대에 섰다.
플로리다 필하모닉에서 음악감독으로 14년간 재임하면서 월튼, 말러 교향곡 1번을 녹음하여 찬사를 받았다. 특히 말러 녹음은 <스테레오파일>의 `이달의 레코딩`, 프랑스의 <디아파송> 황금상을 받았고,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구스타프 말러 협회로부터 최고의 말러 레코딩으로 꼽히면서 “토블라흐 작곡 오두막”상을 받았다.
영국 최고의 오케스트라와 작업하는 그는 유럽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공동 창설자이며, 동 악단의 미주, 극동, 유럽 투어를 지휘하였다. 미주에서도 세인트 루이스, 몬트리올, 신시내티, 피츠버그, 댈러스, 시애틀, 인디애너폴리스의 오케스트라로부터 자주 초청받고 있다.
이번 시즌에 그는 뉴질랜드 심포니, 네덜란드 라디오 필하모닉, BBC 웨일즈 오케스트라, 서울시향, NHK 심포니를 지휘하며, 커티스 음대 오케스트라의 시즌 오픈 콘서트를 지휘한다. 또한 아시안 유스 오케스트라의 순회 공연을 지휘하며, 애들레이드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유스 오케스트라의 2011년 시즌을 지휘한다.
피아노 협연 : 니콜러스 앤절리치 Nicholas Angelich, piano
1970년 미국에서 태어난 니콜러스 앤절리치는 다섯살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 2년 후에 모차르트 협주곡 21번으로 무대에 섰다. 13세에 파리 고등음악원에 입학하여 알도 치콜리니, 이본 로리오, 미셸 베로프를 사사하고, 피아노와 실내악 부문 1등상을 받았다. 레온 플라이셔, 마리아 주앙 피레스, 드미트리 바시키로프의 마스터클래스에 참여하고, 이탈리아 카덴나비아 피아노 재단에 상주했다. 앤절리치는 카자드쥐 콩쿠르, 지나 바카우어 콩쿠르 등 많은 콩쿠르에서 우승하였고, 2003년 레온 플라이셔로부터 `루어 국제 피아노 페스티벌 : 젊은 연주자상`을 받았다.
2010-11 시즌에 앤절리치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리사이틀을 가지고, 스테판 드네브의 지휘로 LA필하모닉 무대에 데뷔한다. 2009/10 시즌에 뒤투아 지휘의 로열 필하모닉과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황제`를, 네제세겡 지휘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협연했다. 앤절리치는 프랑스 국립교향악단,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리옹 국립 오케스트라,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 프랑크푸르트 방송교향악단, 신시내티 심포니 등과 협연하였다.
고전 및 낭만주의 레퍼토리의 인상적인 해석자로서 베토벤과 리스트의 작품을 프랑스(라로크 당테롱, 툴루즈, 낭트), 독일(루어, 바이어 레버쿠젠), 이탈리아(브레시아), 스페인(빌바오), 미국(워싱턴) 등에서 공연하였다. 또한 20세기 음악의 해석에도 명성을 얻고 있어, 라흐마니노프,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 버르토크, 라벨, 메시앙, 슈토크하우젠, 불레즈, 탕기 등의 작품을 활발하게 연주하고 있으며, 피에르 앙리는 그에게 `오케스트라 없는 피아노 협주곡`을 헌정하였다.
앤절리치는 조슈아 벨, 지앤 왕, 카퓌송 형제, 이자이 현악사중주단 등과 실내악을 연주하였고, 카퓌송 형제와의 브람스 트리오 녹음은 독일음반비평가상을 수상하였다. 이외에도 베토벤, 리스트, 라벨, 라흐마니노프 등의 작품을 아르모니아 문디, 리링스, 미라레 레이블로 녹음하였다.
2003년 5월, 앤절리치는 쿠르트 마주어 지휘로 뉴욕 필하모닉에 데뷔하였으며, 2007/08 시즌에 블라디미르 유로프스키는 러시안 내셔널 오케스트라의 개막 공연에 초청하였다.
향후 앤절리치는 로테르담 필하모닉, 몬트리올 심포니, 애틀랜타 심포니, 서울시향, 슈투트가르트 방송교향악단, 런던 필하모닉(투어) 협연이 예정되어 있다. 2009년 여름에는 네제세겡 지휘,스코티시 체임버 오케스트라 협연으로 BBC 프롬스에 데뷔하였다. 이후 네제세겡과는 모스틀리모차르트 페스티벌에서 모차르트 협주곡 20번으로 다시 공연하였다.
연주 : 서울시립교향악단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관람석 총 2,505석
1988년 문을 열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클래식음악 전용 공연장으로 현재까지 가장 큰 객석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2005년 리노베이션을 거쳐 현재의 2,505석을 갖추게 되었다. 3층으로 이루어진 객석은 아레나형의 독특한 공간 설계로 섬세함에서 웅장함까지 모든 음의 영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고 전달한다. 무대 뒤편의 객석은 합창단원석으로도 활용되는데 콘서트홀의 또 다른 볼거리다.
각 좌석도에서 좌석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좌석에서 촬영한 무대시각선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촬영 시야(VIEW)이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층 1,508석
2층 568석
3층 429석
현대자동차와 함께하는 서울시향의 마스터피스시리즈 IIl에 대한 관람평을 적어주세요.
※ 저속한 표현, 타인의 명예훼손, 광고성 게시물 등은 통보 없이 삭제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십시오.
※ 등록된 관람평의 수정과 삭제는 마이페이지 > 참여와활동 > 관람평 에서 가능합니다.
예술의전당은 초등학생 이상부터 공연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 연령 증빙이 어려울 경우 티켓 소지 여부 및 보호자의 동반 여부와 관계 없이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단, 어린이 대상 공연은 제외)
승용차 이용 시 주차장이 혼잡하여 공연장 정시 입장이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차장 혼잡으로 인한 공연장 입장 지연 시 피해보상(티켓교환 및 환불)불가)
온라인(PC,모바일) 예매의 경우 1회 10매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반복하여 예매하기 불편하거나 단체 티켓예매를 원하시면 서비스플라자 (1668-1352)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하였을 경우 재발행 되지 않으며 환불 및 변경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정예매처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양도 양수한 티켓에 대해 예술의전당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공연, 전시에 따라 예매, 환불 및 환불수수료 정책이 상이할 경우 상세페이지에 별도 공지하며 해당 공지는 위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반드시 상세페이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구분 | 환불수수료 | 비고 | |
---|---|---|---|
관람일 10일 전 | 전액 환불 | ||
관람일 9일~1일 전 | 티켓금액의 10% | 관람일 3일 전 예매건에 한해 예매당일 환불할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환불 가능 (전화 : 20:00까지 / 방문 : 화~일 20:00까지, 월 18:00까지 / 인터넷 23:59까지) |
|
관람 당일 | 전당기획공연 | 티켓금액의 90% | 공연시작 2시간 전까지 (현장매표소 환불 불가) |
대관공연 | 환불 불가 | 관람일 1일 전까지 가능 |
관람당일까지 사용 가능
관람일 4일까지 사용 가능
카드사 승인취소
예매자명의 계좌로 환급
-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예매내역 조회 후 취소
-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예매 취소 요청
[ 마이페이지 > 티켓예매내역 ] 에서 직접 취소하거나
서비스플라자(1668-1352)를 통해 취소 요청
해당공연 관람일 1일전까지 비타민스테이션 서비스플라자로 직접 방문하여 티켓을 반납 하여야만 환불 가능
방문 가능시간 (월- 09:00~18:00 / 화~일- 09:00~20:00)
(자세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요망 : 1668-1352, 09:00~20:00)